본문 바로가기

전문기술86

[전문기술] 항체 결합한 약물 전달체, 암 치료 효과 높인다 [전문기술]  항체 결합한 약물 전달체, 암 치료 효과 높인다  UNIST 연구팀이 암 치료를 위한 약물 전달 효능을 크게 높였다. UNIST(총장 박종래)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금속-유기 골격체(MOF) 나노입자와 항체를 결합한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전달체는 원하는 암세포를 정확하게 표적할 수 있다. 항체 단백질은 MOF 입자 표면에 부착되며, 암세포 외 다른 세포와 불필요하게 반응하는 것을 줄여 생체환경 안전성을 높였다. MOF 나노입자는 금속 클러스터와 유기물 구조로 구성된다. 다양한 조합을 통해 생친화적, 열감응형, 빛감응형 등 다양한 목적의 입자를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입자 표면의 결함과 반응성 부위는 면역세포에 의해 제거되거나 뭉칠 수 있다.연구팀은 이러한 결함을 이용해 항체 단백질을 M.. 2024. 8. 12.
[전문기술] 새로운 차원의 노화세포 표현형 규명 [전문기술]  새로운 차원의 노화세포 표현형 규명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의학과 권영대 교수 연구팀은 노화에 수반되는 세포 내 신규 표현형을 발굴해 냈다고 9일 밝혔다. 노화는 그간 거스를 수 없는 생명 현상으로 여겨졌으나 근래 세포 노화에 대한 연구가 축적되며 인류가 극복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포 노화는 유전체 불안정성, 활성산소종, 만성적 염증 등으로 인해 세포의 증식 능력이 감퇴된 상황이며 알츠하이머 병, 관절염, 망막 변성, 근감소증 등의 퇴행성 노인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핵인(Nucleolus)은 세포 내 단백질 생산을 담당하는 리보솜이 조립되는 비막성 세포소기관이다. 또한 핵인은 물질적 특성이 다른 주변의 핵질과 분리된 채 독자적인 액체.. 2024. 8. 9.
[전문기술]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통합 치료 시스템 구축… 어디서든 동일하게 치료 가능 [전문기술]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통합 치료 시스템 구축… 어디서든 동일하게 치료 가능 국내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들이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최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서울대병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은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통합 치료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31일 밝혔다.이는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의 일환으로, 선진국형 통합 유전체 분석과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반 미세잔존질환 검사를 전국 환자들에게 무상 지원한다. 소아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들은 이제 확립된 치료 프로토콜에 따라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수준의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다. 특히 세계 최초 NGS-MRD를 기반으로 한 치료법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백혈병은 소아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 2024. 8. 1.
[전문기술] 유전체 분석의 복잡성과 불투명성을 해결하고 성능과 효율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알고리즘 [전문기술]  유전체 분석의 복잡성과 불투명성을 해결하고 성능과 효율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알고리즘서울대학교 연구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생물정보협동과정 교수 성주헌; 생물정보협동과정 박사과정 박건형 연구원)이 유전체 분석을 혁신할 수 있는 새로운 원천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공개하였다. 유전체 분석은 질병 진단과 신약 개발 등의 첨단 바이오 테크놀로지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이다. 유전체 분석은 실험적인 분석 과정뿐 아니라, 그 이후에 대규모의 생물정보 데이터 처리 단계가 필수적이다. 한 사람당 30억개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유전체 자료는PB (페타바이트) 규모에 달하여, 정확한 염기쌍을 효율적이고 빠르게 찾는 알고리즘은 매우 중요한 원천기술이다. 지금까지 이러한 원천 알고리즘은 전적으로 영-미의 기술에 .. 2024. 7. 26.
[전문기술]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전문기술]  면역력이 더 높은 성별과 그 이유를 밝혀내다  남자와 여자가 생물학적으로 다른 점 중 하나는 면역력의 차이이다. 하지만 성별에 따른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유전자와 생물학적 경로를 알아내는 것은 아직까지 과제로 남아있었다. KAIST 연구진이 수컷 선충의 면역력을 높이는 단백질이 더 활성화됨을 밝혀내 화제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이승재 교수 연구팀(RNA 매개 건강 장수 연구센터)이 *자가포식 활성화 정도가 성별에 따른 면역력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자가포식(오토파지): 세포가 필요 없거나 손상된 세포 구성 성분을 스스로 제거하는 과정. 이 과정을 통해 세포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외부 스트레스에 대응함.  연구진은 인간의 생명 현상을 연구하기 위한 중요.. 2024. 7. 18.
[전문기술]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전문기술]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말이 있다. 그럼 바이러스는 죽어서 무엇을 남길까. 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가 회복한 이후 생기는 변화에 대해서는 그간 연구가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신의철 센터장(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서울시 보라매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사라져도, 환자의 면역세포에는 지워지지 않는 흔적이 남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HCV)의 혈액이나 체액 전파로 인해 발생한다. 감염되면 절반 이상이 만성으로 진행되며, 장기간 염증이 반복되면서 .. 2024. 7. 9.
[전문기술] CKD 신약 유망하지만 강력한 효능 데이터 필요 [전문기술]  CKD 신약 유망하지만 강력한 효능 데이터 필요 다양한 작용 메커니즘 약물 시장 확대 기회…세포‧복합요법 등 연구 복잡한 기존 약물에 대한 미충족 욕구가 높은, 만성신질환(CKD) 치료 공간에 새로운 작용 메커니즘을 제공하거나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신약의 개발이 시급하다.데이터 및 분석 업체인 글로벌데이터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개발 중인 많은 약물들은 CKD 치료에 대한 기존 시장을 크게 확장할 준비가 되어 있지만, 의사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더 많은 진전이 필요하다.보고서를 보면, 7대 시장(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에서, CKD 시장은 2023년 22억 달러에서 2033년 135억 달러로 연평균 19.6%의 고성장이 예상된다.성장은 다양.. 2024. 6. 28.
[전문기술] 종양 형성 과정에서의 줄기세포 상태 변화를 활용한 새로운 암 치료 전략 [전문기술]  종양 형성 과정에서의 줄기세포 상태 변화를 활용한 새로운 암 치료 전략 ◇ 최근 ‘세포기반 차단의학(cell-based interceptive medicine)’ 개념과 연관된 연구결과가 발표. 종양 형성 과정에서 줄기세포의 상태 변화를 분석한 연구팀은 빠른 세포 주기(상위 스파이크, low-가소성)와 느린 세포 주기(하위 스파이크, high-가소성)를 나타내는 2가지 세포 상태를 알게 되었고, 이러한 세포 상태의 전환을 조작함으로써 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    ▸주요 출처 : Science, Stem-cell states converge in multistage cutaneous squamous cell carcinoma development, 2024... 2024. 6. 27.
[전문기술] 전 세계 바이오 연구 커뮤니티를 위한 강력한 리소스,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전문기술]  전 세계 바이오 연구 커뮤니티를 위한 강력한 리소스,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는 참가자 50만명의 인체샘플(혈액,소변,타액), 심층적 임상·역학·라이프로그 정보 및 전체게놈시퀀싱(WGS) 분석결과를 포함한 광범위한 대규모 바이오연구 데이터베이스로, 전 세계 과학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됨에 따라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과학적 발견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통계학, 컴퓨터, 의학, 생명공학 등 다학제간 융합연구로 연구자 간 협업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    ▸주요 출처 : https://www.ukbiobank.ac.uk 홈페이지; PLos Med., UK biobank: an opening access resource for i.. 2024.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