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세플라스틱5

[생활과학] 수돗물 속 미세플라스틱 걱정?..."'이렇게' 하면 80%이상 없어진다" [생활과학] 수돗물 속 미세플라스틱 걱정?..."'이렇게' 하면 80%이상 없어진다" 수돗물을 5분 동안만 끓이면 미세 플라스틱을 80% 가량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술지 ‘환경 과학 및 기술 회보(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에  ‘Drinking Boiled Tap Water Reduces Human Intake of Nanoplastics and MicroplasticsClick to copy article link’란 제목으로 게재된 이 연구는 식수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실용적인 방법을 조사했다. 중국 광조우 의대 연구진은 끓는 물이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심을 가졌다. 일부 아시아 국가의 전통인 끓.. 2025. 2. 4.
[생활과학] 발기부전 있는 男...중요부위서 '이것 7종' 발견, 뭐길래? [생활과학] 발기부전 있는 男...중요부위서 '이것 7종' 발견, 뭐길래?   남성의 성기에서 미세플라스틱 7종이 나왔다. 플라스틱 제품이 환경에서 분해 될 때 만들어진 작은 조각이 음경 조직 샘플 5개 중 4개에서 발견됐다. 미세플라스틱은 혈액 뇌 귀 태반 심장 고환 등 신체 조직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건강매체인 헬스데이에 따르면 연구진은 발기부전(ED) 진단을 받고 2023년 8, 9월 음경 임플란트 수술을 받기 위해 마이애미대 병원을 찾은 환자 5명에게 샘플을 채취했다.이 샘플을 분석해보니 남성 4명에게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7가지 유형의 미세 플라스틱이 나왔으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폴리프로필렌(PP)이 가장 널리 퍼져 있었다.이 연구의 수석 저자인 란지스 라마사미(Ranji.. 2025. 1. 10.
[생활과학] 미세 플라스틱이 뇌에 침투해 파킨슨병을 유발할 수 있다 [생활과학] 미세 플라스틱이 뇌에 침투해 파킨슨병을 유발할 수 있다 나노 크기의 플라스틱 조각들이 뇌 속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특정 단백질과 결합하여 파킨슨병이나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질환 발생률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나노플라스틱은 버려진 플라스틱이 풍화·자외선·광산화 등의 물리적 작용에 의해 잘게 부서지면서 생성되는 미세플라스틱 중에서도 크기가 1mm보다 작은 것을 가리킨다. 미국 듀크대학교 의대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배양한 뇌 신경세포에 대한 연구와 인위적으로 파킨슨병을 일으킨 실험용 생쥐 모델을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7일(현지시간) 실렸다. 사용하고 난 뒤 버려진 플라스틱은 바람이나 햇빛 등의 .. 2023. 11. 20.
[생활과학] 미세플라스틱이 토양 생태계와 질소순환을 교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생활과학] 미세플라스틱이 토양 생태계와 질소순환을 교란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전성평가연구소가 밝힌 바에 따르면 미세플라스틱의 크기와 농도에 따라 콩과식물(대두, 강낭콩, 팥 등)과 연계된 질소고정 효율이 변화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한다. 콩과식물의 뿌리혹에 존재하는 세균인 '뿌리혹박테리아'는 질소고정 능력을 통해 대기 중의 질소를 식물이 이용할 수 있도록 형태를 바꿔줌으로써 식물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질소를 식물에게 제공하여 생장에 도움을 준다. 미세플라스틱이 토양 내 질소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콩과식물이 생육할 토양에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미세플라스틱을 서브마이크론(Sub-Micron; 1~2μm)의 크기로 환경유의농도의 최저농도 .. 2023. 11. 16.
[생활과학] 빛으로 미세 플라스틱 찾아낸다! [생활과학] 빛으로 미세 플라스틱 찾아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재료연구원(KIMS, 원장이정환/ 이하 재료연) 나노바이오융합연구실 정호상 박사 연구팀이 KOTITI 시험연구원과의 융합연구를 통해, 환경 오염과 먹이사슬로 인한 인체 및 유전 독성을 일으킨다고 잘 알려진 미세 플라스틱을 현장에서 신속 및 고감도로 검출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현장형 미세 플라스틱 검출기술은 키트(Kit)형이다. 간단한주사기 필터에 걸러지는 형태로, 전 처리 과정 없이 20분 이내에 미세 플라스틱의 종류와 개수, 분포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팀은 미세 플라스틱이 필터를 통해 걸러질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마이크로 스케일의 기공을 가지는 종이필터 표면에 미세 플라스틱.. 2023.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