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기술86

[전문기술] 장기 별 직접 약물 전달이 가능해지다 [전문기술]  장기 별 직접 약물 전달이 가능해지다  장기 선택적 약물 전달 기술은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큰 기대를 받고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기술로는 간, 비장, 폐와 같은 대식세포가 활발히 활동하는 장기에만 약물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나 콩팥, 심장, 뇌와 같은 장기로의 약물 전달은 도전적인 과제로 알려져 있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와 화학과 이희승 교수 공동연구팀이 체내에서 여러 생물학적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당질 층을 모방한 인공 탄수화물 나노입자(Glycocalyx-mimicking nanoparticle, GlyNP) 수십 종을 합성하여 이를 다양한 장기로의 특이적 약물 전달과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나노의약 개발에 성공했다고 3일.. 2024. 5. 3.
[전문기술] Antibody-drug conjugates (ADC) 항암치료제 최신 동향 [전문기술]  Antibody-drug conjugates (ADC) 항암치료제 최신 동향요약문암이 세계적으로 큰 위협이 됨에 따라 항암 치료 방법이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기존에 항암치료에 사용하던 화학요법에 사용하는 세포독성 항암제를 개선한 표적 항암제가 등장하였고 항체-약물 접합체(antibody-drug conjugate, ADC)는 차세대 바이오산업의 주요 트렌드로 떠올랐다. 현재 13개의 ADC 의약품이 FDA 승인을 받아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ADC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ADC의 기본 개념부터 현재 ADC 개발에 적용되는 최신 기술들을 정리하여 기술한다. 더불어 시장에 출시된 ADC 의약품을 분석하고 ADC 시장 동향을 확인하여 앞으로 ADC의 개발.. 2024. 4. 29.
[전문기술] 뇌과학 난제 해결에 기여하는 프로젝톰(projectome) 연구 [전문기술] 뇌과학 난제 해결에 기여하는 프로젝톰(projectome) 연구 뉴런 프로젝톰(projectome)은 뉴런이 어떻게 퍼져 나가고, 연결되는지에 관한 연구로, 마우스 해마에서 단일뉴런의 프로젝톰 연구를 통해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해마 뉴런의 공간적 구조과 연결성 원리를 규명. 또한 프로젝톰에 대한 대화형 쿼리, 시각화 및 분석이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함에 따라 뇌과학 및 신경과학에 새로운 지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Science, Whole-brain spatial organization of hippocampal single-neuron projectomes, 2024.2.2 ■최근 마우스 해마(hippocampus, HIP)에서 뉴런의 공간 정보와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2024. 4. 15.
[전문기술] 바이오래드, 임상연구 최초로 유방암 변이 검출용 초고감도 다중화 디지털 PCR 분석 출시 [전문기술] 바이오래드, 임상연구 최초로 유방암 변이 검출용 초고감도 다중화 디지털 PCR 분석 출시 생명과학 연구 및 임상 진단 제품의 글로벌 리더인 바이오래드 연구소(Bio-Rad Laboratories, Inc.)는 오늘 첫 번째 초고감도 다중화 디지털 PCR 검사인 ddPLEX ESR1 돌연변이 검출 키트(dutation Detection Kit)를 출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검사는 매우 민감하고 다중화된 돌연변이 검출 검사가 번역 연구, 치료법 선택 및 질병 모니터링을 돕는 종양학 시장을 위한 회사의 Droplet Digital PCR(dPCR™) 제품을 확장합니다. ddPLEX ESR1 돌연변이 검출 키트는 단일 웰에서 알려진 7개의 관련 ESR1 돌연변이를 동시에 검출, 구별 및 절대 정량.. 2024. 4. 3.
[전문기술]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한 인간 뇌 조직 [전문기술]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제작한 인간 뇌 조직 ◇ 최근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재생의학과 뇌연구 분야에 중요한 진전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발표. 인간 만능줄기세포(hPSCs)를 이용하여 다양한 신경 전구체를 유도한 후, 이들 세포를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정밀하게 배치하였으며, 프린트된 신경 전구체는 뉴런 및 별아교세포(astrocytes) 등으로 분화하며 기능적인 신경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관찰 ▸주요 출처 : Science News, 3D printer creates brain tissue that acts like the real thing, 2024.2.9 ■ 최근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통해 재생의학과 뇌연구 분야에 중요한 진전을 보여주는 연구결과가 발표 ○ 미국 위스콘신-매디.. 2024. 4. 1.
[전문기술] 인도에서 개발한 CAR-T, 치료비용 1/10로 저렴 [전문기술] 인도에서 개발한 CAR-T, 치료비용 1/10로 저렴 ◇인도의 한 작은 바이오텍 회사(ImmunoACT)가 선진국에서 개발된 첨단 항암제인 CAR-T 세포치료제의 자체 버전(NexCAR19)을 생산. 치료비는 선진국에서 개발한 CAR-T 치료제의 1/10로, 시장에 큰 충격과 함께 변화를 유도할 것으로 예상 ▸주요 출처 : Nature News, Cutting-edge CAR-T cancer therapy is now made in India - at one-tenth the cost, 2024.3.21 ■ 인도의 한 작은 바이오텍 회사가 선진국에서 개발된 첨단 항암제인 CAR-T 세포치료제의 자체 버전(NexCAR19)을 생산 ○ 치료비는 선진국에서 개발한 CAR-T 세포치료제(chimer.. 2024. 3. 27.
[전문기술] LK-99 연구진, 美 물리학회서 '새 상온·상압 초전도체' 연구 발표 [전문기술] LK-99 연구진, 美 물리학회서 '새 상온·상압 초전도체' 연구 발표 상온, 주변 압력 초전도체 'LK-99'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한국의 한 연구팀은 LK-99에 황을 첨가하여 새로운 초전도 물질인 'PCPOSOS'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사실은 미니애폴리스에서 열린 미국 물리학회(APS) 회의에서 밝혀졌습니다. 이 물질은 무저항, 마이스너 효과 및 자석 위의 부분 부상과 같은 초전도 특성을 나타냅니다. 연구팀은 PCPOS에서 특정 자기장 한계 내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는 타입 II 초전도체의 특징인 "플럭스 피닝"에 기인하는 독특한 부분 부상 효과를 관찰했습니다. 추상적인 철회와 LK-99의 초전도성 주장을 둘러싼 이전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연구팀은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그들.. 2024. 3. 26.
[전문기술] 글로벌 의약품 시장 현황 및 전망 [전문기술] 글로벌 의약품 시장 현황 및 전망 ◈본문 1. 지역별 의약품 지출현황 및 전망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사용 감소에도 불구하고 신약 출시 및 특허 만료에 따른 바이오시밀러의 영향력 확대 영향으로 2028년까지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함. ●주요 선진국의 신규 브랜드 (1,930억 달러) 및 기존 브랜드 (3,850억 달러), 파머징 시장 (1,100억 달러)의 성장 영향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2028년 약 2조 2,380억 달러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제외)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 주요 10개 선진국 시장에서 브랜드 독점권 상실로 인하여 향후 5년간 약 1,920억 달러로 증가할 것이며, 이 중 케미컬의약품이 1,330억 달러,바이오의약품이.. 2024. 3. 19.
[전문기술] 암 유발 물질 컴퓨터로 예측하다 [전문기술] 암 유발 물질 컴퓨터로 예측하다 - KAIST-서울대학교병원 공동연구팀, 암종별 돌연변이가 대사경로를 통해 어떻게 세포대사에 변화를 일으키는지 체계적으로 예측하는 최초의 컴퓨터 방법론 개발 - 새로운 암 유발 대사물질(oncometabolites) 발견의 길 열어, 암 대사 기반 암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전망 - 생명공학 및 유전학 분야 대표 국제학술지인 게놈 바이올로지 (Genome Biology) 誌에 논문 게재 암은 정상세포와 다르게 세포내 비정상적인 축적을 통해 유발되는 대사 반응을 하며, 암의 치료 및 진단을 목적으로 이런 암 대사반응에 대해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에 KAIST 연구진이 컴퓨터를 통해 24개 암종에 해당하는 1,043명의 암 환자에 대한 대사 모델.. 2024.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