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학

[생활과학] 임신 중에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태아의 뇌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by 과학 몰빵 입수 ( 과몰입) 2023. 12. 11.

[생활과학] 임신 중에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태아의 뇌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안전성평가연구소는 임신 중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태아의 뇌 형태와 기능, 신경 발생에 이상이 생겨 행동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디메톡시에틸 프탈레이트(Di-methoxyethyl phthalate, DMEP)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첨가제로 화장품, 장난감, 세제 등 각종 PVC 제품이나 가정용 바닥재 등 주변 생활환경에서 흔하게 접하는 화학물질이며, 인체 노출 시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혼란시키는 대표적인 내분비계 교란 물질이다. .

KIT 유전체손상연구그룹 가민한 박사 연구팀 현성애 박사와 고문이 연구원은 실험동물을 이용해 임신 중 모체가 DMEP에 노출되었을 때 태아의 뇌 발달 단계에서 뇌 형태와 기능 및 신경세포 생성에 변화가 있으며 이는 행동장애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임신 중인 어미 쥐에게 디메틸푸마레이트(DMEP)를 노출시켰더니 태아의 뇌에서 신경세포 수가 줄어들고 그 크기도 작아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뿐만 아니라 신경세포와 별 모양의 성상세포 사이에도 균형이 깨져 있었다. 이는 신경세포와 성상세포의 발달 시기를 조절하는 유전자들의 발현 정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이뿐만 아니라 DMEP는 신경세포의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시냅스 형성에도 장애를 일으켜 정상 태아에 비해 DMEP에 노출된 태아는 신경세포의 수상돌기가시의 수가 감소하고, 정상 대조군에 비해 미성숙한 수상돌기가시 형태를 보였다.

따라서 전기생리학적 분석을 통해 DMEP로 인해 발생한 시냅스 구조의 변화가 신경세포의 활동성을 저하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DMEP가 신경세포생성 및 뇌형태와 기능적 변화를 통해 자손의 행동학적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ADHD라고 불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KIT 유전체손상연구그룹 가민한 박사는 “이번 연구는 임신 중 DMEP 노출이 청소년기 행동장애와 인과관계가 있음을 직접적으로 확인한 것으로, 이는 프탈레이트 외에도 다양한 생활 속 많은 화학물질이 신경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 쓰이는 화학첨가제이므로 임산부들은 가급적 플라스틱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화장품이나 세제 등도 천연 제품을 쓰는 것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와 더불어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생활환경 유해물질 대체 친환경 신소재 개발 및 플랫폼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신경병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브레인 패솔로지(Brain Pathology)’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