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학] 위선종 환자가 내시경으로 종양을 제거한 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까지 제균하면 위암 발생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선종을 내시경으로 절제하고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없애는 치료를 받은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위암 발병 위험이 1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소화기병센터의 홍수진 교수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를 토대로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위 선종을 진단받은 환자 7만여 명을 분석했다.
조기 위암을 내시경으로 절제한 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을 없애는 치료를 하면 위암이 재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암 전 단계로 볼 수 있는 위선종을 내시경으로 제거한 뒤 헬리코박터균을 없애면 위암 발생률이 낮아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연구에 따르면, 위 선종을 내시경으로 제거한 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박멸하는 치료를 받은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위암 발병률이 12%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치료를 받은 지 3년째에 16%, 5년째에 20%의 환자에게서 확인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의 제거가 위암뿐 아니라, 시술 후 새롭게 나타나는 위선종의 발병률까지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는 국내에서 가장 흔한 암인 위암의 발병률을 낮추는 데 있어, 조기 발견 및 치료만큼이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여부 확인과 제균 치료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유혜원 교수는 “위 선종은 내시경 치료가 권고되지만 내시경 절제 후 위 점막에서 위암 발생률이 9.3%에 달해 위 선종을 절제한 병력이 있는 환자는 위암 발생 고위험군”이라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위암의 가장 강력한 위험 인자로 알려졌으나, 아직 위 선종의 내시경 절제 후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를 받은 환자의 위암 예방 효과는 밝혀지지 않았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수행했다”고 했다. .
홍수진 교수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 결과가 소화기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에 실리게 돼 기쁘다"며 "이번 연구가 위 선종과 위암의 효과적인 치료법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세계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의학저널인 '가스트로엔터롤로지'에 게재되었다.
'생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과학]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알아야 해요. (48) | 2024.02.22 |
---|---|
[생활과학] 흔들면 따뜻해지는 핫팩 안에 들어있는 물질은 무엇일까요?. (40) | 2024.02.13 |
[생활과학] 완치가 어려운 자가면역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이 개발될까. (45) | 2024.02.05 |
[생활과학] 발기부전 치료제인 비아그라가 처음 개발되었을 당시에는 심장병 환자들의 심혈관 질환 예방약으로 쓰였다고 합니다. (106) | 2024.02.01 |
[생활과학] 뇌세포가 작동하고 정지하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133) | 2024.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