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학] 공부를 잘하는 학생일수록 완벽주의 성향이 낮고, 불안감과 예민함도 덜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내 최고의 지성인들이 모인다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들은 어떤 심리적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오상훈 교수는 서울대 의대생 102명과 서울 소재 대학생 120명을 비교 분석한 결과, 서울대 의대생은 완벽주의 성향이 덜하고 시험에 덜 불안해하며 예민한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과 현재 수강 중인 과목의 학점을 통해 측정하고, 심리 요인으로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 성격 특성, 시험불안, 회복탄력성,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등을 활용해 분석했다.
연구 결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들은 다른 대학의 의대생들에 비해 시험 불안이나 신경증적인 성향이 낮고 사회가 요구하는 기준에 맞추려는 경향이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타인이 자신에게 높은 기준과 요구를 부여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이는 스스로가 정한 기준보다 타인의 시선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특성과는 다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란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한 일을 잘 해낼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말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에 대한 의지를 가지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성적이 향상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는 시험불안, 완벽주의, 신경증 등이 있다.
오상훈 교수는 "성격 자체의 문제인 신경증은 고치기 힘들지만, 시험 불안이나 완벽주의 같은 경우에는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하면 오히려 학습 능률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학업 스트레스를 관리하지 않고 방치하면 결국 학업소진으로 이어져 학업성취가 떨어질 수 있다"며 "학생들의 높은 학업성취를 위해서는 좋은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생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과학] 세포 내에서 노화를 막는 단백질이 발견돼, 노화와 질병 치료의 새로운 표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88) | 2024.01.03 |
---|---|
[생활과학]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에 감염되면 치매 발병 위험이 11%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65) | 2023.12.28 |
[생활과학] 뇌졸중의 발병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71) | 2023.12.19 |
[생활과학] "크론병은 발병하기 최대 8년 전부터 징후가 나타난다"며 "'염증성 장질환'을 앓는 환자는 백혈구와 혈소판 수치를 유심히 살펴야 한다. (50) | 2023.12.14 |
[생활과학] 임신 중에 프탈레이트에 노출되면 태아의 뇌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40) | 2023.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