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술] 저산소에 의한 세포밖소포체 조절
[전문기술] 저산소에 의한 세포밖소포체 조절 1. 세포밖소포체 세포밖소포체는 크기, 생성 경로, 구성 등의 특성에 따라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된다: 세포자멸사소체, 미세소포, 엑소좀. 세포자멸사소체는 주로 세포사멸 과정 중 형성되며, 1,000-5,000 nm의 크기를 가지고 DNA 분절과 세포 소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미세소포와 엑소좀은 주로 비세포사멸성 세포에 의해 생성된다. 미세소포는 엑토좀이나 미세입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 크기는 100-1,000 nm로 원형질막에서 외부로 발아하면서 생성된다. 엑소좀은 30-150 nm의 크기로, 엔도솜 경로를 따라 다중소포체가 원형질막과 융합하는 과정에서 생성된다. 따라서, 다중소포체에서 유래한 엑소좀과 크기가 유사하더라도 원형질막에서 발아되어..
2024.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