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학] 수면무호흡증, 급성심장정지 위험 높인다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정책연구용역 ‘심장정지 발생원인 및 위험 요인 규명 추적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없는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혈관질환이 없는 18~64세의 젊은 연령층에서 급성심장정지 위험도가 76%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심혈관질환이 없는 젊은 연령층에서 수면무호흡증은 급성심장정지의 위험한 요인 중 하나라는 의미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반복적으로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로,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얕아지는 증상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킨다. 수면무호흡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수면 중 호흡 중단, 주간 졸림증, 집중력 저하, 코골이 등이 있다.
우리나라 수면무호흡증 발생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수면무호흡증 발생 환자는 2018년 4만5067명에서 지난해 15만3802명으로 약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수면무호흡증 발생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수면무호흡증은 단순한 수면 문제를 넘어 급성심장정지의 위험을 높이는 주요 위험 요인이므로 그 위험성을 인식하고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특히, 비만이나 흡연, 고혈압 등은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건강관리를 통해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생활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과학] 알레르기 비염 하비갑개 수술, 장기간 치료 효과 유지 (35) | 2024.11.29 |
---|---|
[생활과학] "전자담배 합성니코틴 유해물질 많다"…정부 '담배규제 적용' 확정 (31) | 2024.11.27 |
[생활과학] "살 빼겠다고 밥 안 먹어?"...중년이라면, 더 살 찔 수 있다고? (30) | 2024.11.18 |
[생활과학] “증상 없는 경우 너무 많아”... 암 키우는 가장 나쁜 습관은? (18) | 2024.11.15 |
[생활과학] 지병 없어도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 높으면 120 미만으로 낮춰야 (1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