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08 [생활과학] 어린이의 시선 측정해 자폐증 조기 진단한다 [생활과학] 어린이의 시선 측정해 자폐증 조기 진단한다 美 마커스자폐센터, 5일(현지 시각) 연구 발표 어린이의 시선을 측정하면 자폐증을 조기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워런 존스 미국의 마커스자폐센터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진은 지난 5일 “16~30개월 사이 어린이의 시선을 측정하면 자폐증의 임상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며 “해당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와 ‘JAMA 네트워크 오픈’ 5일자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조기 식별과 개입은 자폐증을 가진 아동의 건강과 학습, 장기적인 복지를 지원하는 데 모두 중요하다. 따라서 연구진은 아이들이 사회 환경을 보고 배우는 방법을 연구한 경력을 살려 자폐와 연관 짓는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진은 1500명 이상의 .. 2023. 9. 7. [생활과학] "과다한 칼슘 섭취가 오히려 구강암 촉진" [생활과학] "과다한 칼슘 섭취가 오히려 구강암 촉진" 칼슘이 세포로 들어가는 데 문지기 역할을 하는 ‘칼슘 채널’ 단백질이 구강암의 성장을 촉진하고 통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칼슘이 세포로 유입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신체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지만, 칼슘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반대로 좋지 않은 작용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손가연 미국 뉴욕대 치과대 연구원 연구팀은 칼슘 채널인 ‘ORAI1’ 단백질이 구강암 종양의 성장을 촉진하고 종양에 의한 통증 민감도를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6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시그널링’에 발표했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칼슘 채널은 열리고 닫히면서 칼슘 이온을 세포막 안과 밖으로 투과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칼슘 채널이 암 발생과 암으로 인한 통증과 어.. 2023. 9. 6. [전문기술] 식물 유전체 3차원 구조의 기본 폴딩 단위 규명 [전문기술] 식물 유전체 3차원 구조의 기본 폴딩 단위 규명 연구 필요성 o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 1개의 DNA를 일자로 쭉 늘어놓으면 약 1.8m의 길이에 달하지만, 실제 DNA가 들어있는 세포 핵의 지름은 수십 마이크로미터에 지나지 않는다. 이처럼 긴 DNA가 아주 작은 핵 내에 존재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잘 접혀진 구조가 필요하다. o DNA 서열 해독 (sequencing) 기술의 발달(Hi-C 기술 등)로 핵 내부에 위치한 유전체 3차원 구조를 분석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DNA가 무작위적으로 접혀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정교하게 접혀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o 많은 동물 세포에서는 topologically-associating domain (TAD) 라고 불리는.. 2023. 9. 5. [생활과학] 뇌 속 별세포 조절해 실컷 먹고 지방만 쏙 빼는 ‘다이어트’ 가능해진다 [생활과학] 뇌 속 별세포 조절해 실컷 먹고 지방만 쏙 빼는 ‘다이어트’ 가능해진다 전 세계 10억 명에 달하는 비만 환자에게 희소식이 전해졌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뇌 속 별모양의 비신경세포 ‘별세포’에서 지방 대사 조절 원리를 찾았다. 나아가 직접 개발한 신약 ‘KDS2010’을 투여한 동물 실험에서 식사량 조절 없이 체중 감량도 성공했다. 공복감과 체내 에너지 균형은 뇌의 측시상하부가 관장한다. 측시상하부 신경세포들이 지방 조직으로 연결돼 지방 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졌지만, 정확한 지방 대사 조절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측시상하부에서 억제성 신경물질인 ‘가바(GABA)’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신경세포 군집 GABRA5.. 2023. 9. 4. [전문기술] ‘무릎연골 치료’ 첨단 나노소재 기술 개발 [전문기술] ‘무릎연골 치료’ 첨단 나노소재 기술 개발 전남대학교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김장호 교수 연구팀과 의과대학 선종근 교수(빛고을전남대병원장) 연구팀이 손상된 무릎 연골을 치료할 수 있는 첨단 재생 나노소재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퇴행성 연골 질환은 인구의 65% 이상 발생하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으로 완전한 치료법은 없다. 연골 결손 진행 정도에 따라 미세골절술 혹은 세포치료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치료 성공률은 낮은 편이다. 해당 연구는 연골을 재생시킴으로써 손상된 무릎연골을 치료할 수 있도록 첨단재생 나노소재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생분해성 바이오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나노소재는 연골조직의 세포외기질 구조와 유사한 나노 패턴을 가지고 있어 연골 재생을 유도할 .. 2023. 9. 1. [전문기술] 폐 재생능력 되살리는 메커니즘 밝혀냈다 [전문기술] 폐 재생능력 되살리는 메커니즘 밝혀냈다 국내와 해외 공동 연구진이 폐줄기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노스웨스턴대학교 한승혜 교수, 동국대학교 이민호 교수 공동연구팀이 미토콘드리아*가 폐줄기세포**의 기능과 분화를 조절하는 신호 전달 기능이 있음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 미토콘드리아 : 세포가 사용할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포 내 기관으로, 세포 내의 대사에 중요한 구실을 한다. ** 줄기세포 : 한 개의 세포가 여러 종류의 다른 세포를 생산해 낼 수 있는 특이한 능력(다중분화능)을 가진 세포로, 우리 몸의 손상된 부위의 세포들을 새로 재생할 수 있는 세포를 통칭한다.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는 10대 사망원인 중에 하나로 만성폐질환과 폐렴을 보.. 2023. 8. 31. [생활과학] 독감·코로나 걸렸을 때…‘이 채소’ 특효? [생활과학] 독감·코로나 걸렸을 때…‘이 채소’ 특효? 생쥐실험 결과 “브로콜리 케일 등 십자화과 채소, 폐 감염 보호작용” 확인 독감, 코로나-19에 걸렸을 때 브로콜리, 케일 등 십자화과 채소를 계속 섭취하면 건강 회복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프란시스크릭연구소 연구팀은 장과 폐의 장벽에서 발견되는 특정 단백질 ‘아릴 탄화수소 수용체(AHR)’에 결합하는 분자인 리간드(Ligand)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폐 감염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런 음식은 십자화과 채소이며 여기엔 브로콜리, 케일, 양배추, 콜리플라워 등이 포함된다. 연구의 책임 저자인 안드레아스 왁 박사는 “평소에도 ‘특정 단백질에 결합하는 분자’인 리간드가 풍부한 십자화과 채소를.. 2023. 8. 30. [생활과학] 장수의 비밀, '체중'에서 찾았다 [생활과학] 장수의 비밀, '체중'에서 찾았다 60세 이후에도 체중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여성이 체중 감소 폭이 큰 여성보다 90세, 95세, 100세까지 장수할 가능성이 최대 2배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 알라딘 샤디얍 교수팀은 30일 의학학술지 '노의학 저널'(Journal of Gerontology)에서 폐경 후 여성의 만성질환 원인을 조사하는 '여성 건강 이니셔티브'(WHI) 참가자들의 체중 변화와 장수 간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1992년 시작된 WHI에 참가한 61~81세 여성 5만4천437명을 대상으로 연구 시작 시점과 3년 차, 10년 차에 체중을 측정했다. 이어 체중 5% 이상 감소, 체중 변화 5% 미만.. 2023. 8. 30. [생활과학] "줄기세포 기반 파킨슨병 치료, 효과 높이는 방법 찾았다" [생활과학] "줄기세포 기반 파킨슨병 치료, 효과 높이는 방법 찾았다" 굳티셀·하버드 의대 김광수 교수 공동 연구팀, 네이처지에 '도파민 뉴런 이식' 생존율 향상법 제시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 네이처(Nature)지에 발표했다. 파킨슨병의 주요 원인인 ‘도파민’ 감소를 해결하기 위해 환자에게 '도파민 뉴런(midbrain dopamine neuron)'을 이식할 때 ‘조절 T세포(regulatory-T, Treg Cell)’를 함께 이식하면 효과가 배가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다. 이는 신약개발 바이오텍 ‘굳티셀(Good T Cell)’ 연구팀과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줄기세포연구소 김광수 교수 연구팀 등 국내 공동연구팀의 쾌거다. 파킨슨병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기대.. 2023. 8. 29. 이전 1 ··· 30 31 32 33 34 35 다음